2025년 8월 19일 화요일

제3회 업사이클링 해양과학 메이커톤 발명대회 – 일정, 참가방법, 시상내역, 유학 준비생 가이드(~9/12)

제3회 업사이클링 해양과학 메이커톤 발명대회 안내

제3회 업사이클링 해양과학 메이커톤 발명대회 포스터


📌 공모전 개요

  • 대회명 : 제3회 업사이클링 해양과학 메이커톤 발명대회
  • 주최/주관 : 국립해양과학관
  • 후원 : 해양수산부, 지역 교육기관 및 관련 기업
  • 접수기간 : 2025. 8. 29.(금) ~ 9. 12.(금)
  • 참가대상 : 초등부 / 중·고등부 (팀 구성 시 지도교사 포함 최대 4인)
  • 출품주제 : 해양 쓰레기 및 폐자원을 활용한 업사이클링 아이디어 발명품
  • 참가형식 : 온라인 예선(아이디어 서류 심사) → 본선(비대면 발명품 제작 및 발표)
  • 선발 규모 : 본선 진출 총 14팀 (초등 7팀 / 중·고등 7팀)
  • 접수방법 : 대회 공식 홈페이지에서 신청서·작품 설명서 업로드 후, 본선 진출자는 발명품 실물 우편 제출
  • 출품료 : 없음 (우편 비용은 참가자 부담)
  • 특전 : 해양수산부 장관상(대상) 포함, 총상금 약 460만 원 및 다양한 상품 제공
  • 문의처 : 국립해양과학관 대회 운영사무국 (☎ 대표번호 / 홈페이지 공지 참고)


📅 일정 개요

  • 예선 심사 : 2025. 9. 13.(토) ~ 9. 22.(월) (서면 심사)
  • 본선 대회 : 2025. 9. 23.(화) ~ 10. 15.(수) (발명품 제작 및 우편 제출)
  • 본선 발표 및 심사 : 2025. 10. 16.(목) ~ 10. 28.(화) (비대면 발표)


🏆 시상 내역

  • 총상금 : 약 460만 원 (상금+상품)

시상 세부

  • 대상 (2팀) : 해양수산부장관상 + 상금 100만 원
  • 최우수상 (2팀) : 국립해양과학관장상 + 상금 50만 원
  • 우수상 (2팀) : 국립해양과학관장상 + 상금 30만 원
  • 장려상 (2팀) : 국립해양과학관장상 + 상금 20만 원
  • 입선 (6팀) : 국립해양과학관장상 + 상금 10만 원


💡 해외 유학 준비생이 참가해야 하는 이유

  • 지속가능성 경험 : 해양쓰레기 문제 해결을 통해 환경·순환경제 프로젝트 경험
  • 실전 메이킹 능력 : 발명품 제작·프로토타이핑 과정은 해외 대학이 중시하는 창의성·실행력 어필 가능
  • 팀워크와 리더십 : 지도교사와 팀원 협업 경험을 글로벌 학업/연구 역량으로 연결
  • 포트폴리오 강화 : 제작물, 발표 자료, 기획서 모두 자기소개서·포트폴리오 활용 가능

전공별 연결 가이드

  • 환경공학 → 해양쓰레기 저감 및 자원 재활용 기술 개발
  • 해양학/해양과학 → 오염 조사·분석 및 데이터 기반 해결책 설계
  • 지속가능디자인 → 친환경 제품 디자인과 프로토타입 제작 경험
  • 재료공학 → 폐자원 물성 분석 및 가공·소재 개선 시도
  • 산업디자인 → 사용자 중심 설계·제작 과정과 UX 개선
  • 환경정책/지속가능경영 → 폐기물 관리·재활용 정책 제안
  • 에너지공학/화학공학 → 재활용 공정 효율·화학적 가능성 연구
  • 데이터사이언스/컴퓨터공학 → AI·데이터 분석 기반 쓰레기 분류·수거 최적화


🧭 준비 전략

이 대회는 단순한 발명품 제작을 넘어, 문제 정의부터 기획·실행·발표까지 종합적인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메이커톤 형식입니다. 따라서 철저한 준비 전략이 성과와 직결됩니다. 아래 제안하는 전략을 참고하여 팀의 강점을 살리고, 해외 유학 포트폴리오로도 활용할 수 있는 결과물을 만들어 보세요.

  • 문제정의 → 가설 → 검증 : 특정 폐기물 선정 후 정량 지표(강도·내열성 등) 설정
  • 스토리보드·기획서 : 배경 → 아이디어 → 제작 방법 → 효과 → 확장성 순으로 구성
  • 프로토타입 제작 : 3D프린팅·레이저컷 활용, 제작 전후 비교자료 확보
  • 발표 훈련 : 3~5분 발표 스크립트·슬라이드·데모 영상 준비
  • 저작권·안전 준수 : 이미지·폰트 라이선스, 안전 규정, 출처 표기 철저히 준수

※ 본 글의 준비 전략은 참가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안내일 뿐이며, 실제 심사 결과 및 수상 여부는 개인의 준비도와 작품 완성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
✅ 제출 전 체크리스트

  • 접수 마감일(9월 12일) 전 제출 완료
  • 참가 신청서·작품 설명서·발명품 사진 등 필수 서류 포함 여부 확인
  • 형식·규격(사이즈, 용량, 파일 형식) 준수 여부 점검
  • 안전 규정 준수 및 실물 제작물 이상 여부 확인
  • 저작권·초상권 문제 없는지 사전 검토

👉 공식 공고 자세히 보기

※ 본 글은 주최 측 제공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일정 및 내용은 변경될 수 있으니 반드시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